티스토리 뷰

목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자산으로 비축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시장은 이를 호재로 기대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비트코인 가격은 곤두박질쳤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최근 벌어진 이슈 및 논란에 대해 빠르게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비트코인 추가 매수 없다… 투자자들 실망 매도세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미국 연방정부가 몰수한 비트코인 20만 개를 비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문제는 새로운 매수가 없다는 점이다.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고문은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입하지 않을 것이며, 비축한 자산도 매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에게 실망을 안겨준 셈이다.

    이 여파로 비트코인 가격은 급락했다.

    • 비트코인: 8만8132달러 (-4.16%)
    • 이더리움: 2189달러 (-4.61%)
    • 솔라나: 144.34달러 (-3.22%)
    • 카르다노: 0.875달러 (-7.21%)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자산들이 전략 비축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하락 요인이 됐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비트코인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트코인 가치 보존이 목적” vs “반쪽짜리 정책”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규정한 것은 분명한 의미가 있다. 과거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일찍 매각해 17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날렸다는 점을 반성하며, 앞으로는 이를 보유 자산으로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인정했으면서도 적극적인 매수를 하지 않는 것은 반쪽짜리 정책"이라는 것이다.

     

    향후 열릴 ‘크립토 서밋’에서 추가 비축 자산 확대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이번 정책이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계속 주목해야 할 것이다.

     

     

     

    결론: 호재인가, 악재인가?

     

    솔직히 말해, 이번 정책은 기대보다 실망이 컸다.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공식 자산으로 인정한 것은 중요한 이정표지만, 투자자들이 원했던 적극적인 매수는 없었다.

     

    앞으로 정부가 추가 매수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지, 다른 디지털자산까지 비축 대상이 확대될지 여부가 중요해졌다. 비트코인 투자자라면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