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기초연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2025년부터 기초연금 수급 조건이 일부 달라졌습니다. 막연히 ‘65세 넘으면 다 받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신다면,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정리된 기초연금 수급 자격 조건을 아주 쉽게 알려드립니다.
✔️ 1. 연령 조건: 만 65세 이상
신청일 기준 만 6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기준
- 예: 1960년 5월생 → 2025년 5월부터 신청 가능
✔️ 2. 국적 및 거주 요건
-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 국내 거주자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국내)
해외 거주자는 원칙적으로 신청이 불가합니다.
✔️ 3. 소득인정액 기준 (2025년 최신)
기초연금은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소득인정액이란?
근로소득, 연금소득, 부동산, 금융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해 합산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항목이 포함됩니다.
- 근로소득 (노인 일자리 등)
- 국민연금, 사적연금
- 예금, 주식, 부동산 등 재산
- 차량, 임대소득 등
※ 부채가 있을 경우 일부 금액은 공제됩니다.
✔️ 4. 직역연금 수급자 제외 대상
다음 대상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이 제한됩니다.
- 공무원연금 수급자
- 군인연금 수급자
-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 수급자
- 별정우체국 직원 연금 수급자
- 그들의 배우자
예외는 있을까요?
예,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일부 수급이 가능합니다.
- 퇴직일시금만 수령하고 정기연금을 받지 않는 경우
- 직역연금 수급 정지 후 5년 이상 경과한 경우
📌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 만 65세 이상 + 국내 거주 + 대한민국 국적
- 소득인정액이 단독 228만 원, 부부 364.8만 원 이하여야 함
- 공무원/군인/교직원 연금 수급자는 원칙적 제외
이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기초연금 신청 가능합니다.
📞 궁금한 점은 어디에 물어볼까요?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 1355
- 기초연금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 마무리하며
2025년부터는 더 많은 어르신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소득 기준이 상향되었습니다.
“나 안 될 거야…” 하고 포기하지 마시고, 소득인정액 조회부터 꼭 해보세요. 의외로 대상자에 해당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필요한 서류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려요!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공식 정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